새도약기금으로 채무자의 조정(감면·장기분할 등)이 이뤄진 뒤, 채권자는 회수 극대화와 리스크 통제를 동시에 관리해야 합니다. 아래 3단계 대응표는 사후 모니터링 → 재조정·회수 전략 → 종결·정리의 흐름으로 정리했습니다.
채권자 3단계 대응표
| 단계 | 트리거 | 목표 | 핵심 조치 | 지표/산출물 |
|---|---|---|---|---|
| 1단계 사후 모니터링 |
조정 확정 직후 ~ 3개월 | 연체 재발 방지, 조기 이상징후 탐지 |
• 상환스케줄 등록(ERP/워크아웃 모듈) • 자동이체·납입알림 세팅, 첫 3회 납입 집중 추적 • 소득·직장·연락처 변동 주기 확인(KYC 갱신) • 담보·보증 유효성 점검 및 보험/압류 상태 확인 |
• 30/60/90일 DPD 지표 • 최초 3회 납입 이행률 • KYC 업데이트 로그 • 리스크 태깅(경고/주의) |
| 2단계 재조정·회수 전략 |
부분 불이행·소득 변동 발생 시 | 회수액 극대화·비용 최소화 균형 |
• 단기 유예/분할 변경(리프라이스·만기 연장 검토) • 소액 일시감액·조기상환 인센티브 제안 • 담보 실사/매각 가능성 검토, 보증인 협의 • 대안: NPL 매각(캠코/사모), 법적조치 비용-편익 분석 |
• 회수율(ERC, LGD 개선) • 조정안 수락률/재연체율 • 법적조치 대비 ROI • NPL 매각 캡레이트 |
| 3단계 종결·정리 |
완납·합의 종료·매각/소멸 | 법적 리스크 제로화·정산 정확성 |
• 잔액/이자 정산서 발급, 채권소멸 기록 처리 • 질권/가압류 해제, 서류 반환(영수증 교부) • 크레딧국 보고 정정(연체 해제·종결 코드) • 내부 감사 로그·사후 통계 반영 |
• 종결증빙(정산서/영수증) • 해제 등기/통지 보관 • 크레딧 리포트 정정 확인 • 사후 리포트(코호트) |
실행 체크리스트
- 데이터: 조정안 원문·상환스케줄·담보/보증 정보의 단일화(마스터 파일)
- 시스템: 자동 알림(이체 실패/만기/갱신), 리스크 룰셋(30·60·90 DPD)
- 커뮤니케이션: 연체 시 3단 콜·문자·서면 루틴 + 협상 스크립트
- 법무: 소장·지급명령·강제집행 템플릿, 비용-편익 매트릭스 사전 산정
- NPL 전략: 포트폴리오 단가·매각 임계치, 선매각/후매각 시나리오 준비
Risk Tip — ① 최초 90일 재연체 구간 집중관리 ② 담보·보증의 실사/가치변동 분기 점검 ③ 조기상환 인센티브와 법적조치의
ROI 비교를 월간 회의체로 고정하세요.
※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, 개별 사건의 법률·세무 자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. 실제 집행은 내부 규정·계약·관련 법령 및 최신 공고에 따라 검토하세요.
Tags:
money

